공화당 지지층마저 '반반'으로 돌아섰다…트럼프 노벨상 꿈 '빨간불'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노골적으로 염원해 온 노벨 평화상의 꿈이 미국 내 여론의 싸늘한 외면과 마주했다. 현지시간 23일 워싱턴포스트가 입소스와 함께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인 4명 중 3명 이상인 76%가 트럼프 전 대통령은 노벨 평화상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응답했다. 그의 수상 자격을 인정한 응답자는 22%에 불과해, 대중의 평가는 그의 기대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압도적인 부정 여론은 그의 외교 정책 수행 능력에 대한 불신과 깊이 연관된 것으로 분석된다. 응답자의 60%는 그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전쟁을 잘못 처리하고 있다고 평가했으며,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분쟁 대응에 대해서도 58%가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전 세계적인 분쟁을 해결하는 리더십을 보여주기는커녕, 오히려 갈등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이 팽배한 셈이다.더욱 흥미로운 지점은 그의 핵심 지지 기반인 공화당 내에서도 의견이 극명하게 갈렸다는 사실이다. 공화당 지지층 응답자의 49%가 그의 수상 자격을 인정한 반면, 정확히 같은 비율인 49%가 자격이 없다고 답하며 팽팽한 균형을 이뤘다. 이는 트럼프의 행보를 지지하는 이들 사이에서도 그가 평화의 상징으로 불릴 만한 인물인지에 대해서는 심각한 의견 대립이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무소속 응답자 중에서는 단 14%,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3%만이 그의 수상을 지지해 정치적 성향에 따른 뚜렷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2009년 노벨 평화상을 받은 것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54%가 "자격이 없었다"고 답한 대목이 눈길을 끈다. 이는 단순히 트럼프 개인에 대한 반감을 넘어, 현직 혹은 전직 미국 대통령의 노벨상 수상 자체에 대한 미국 대중의 뿌리 깊은 회의론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이러한 여론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전 대통령 본인은 노벨상 수상에 대한 강한 의지를 숨기지 않고 있다. 그는 최근 유엔총회 연설에서 자신이 "전 세계 7개의 분쟁을 해결했다"고 주장하며, 특히 우크라이나 평화 협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는 것이 노벨상 수상의 결정적인 열쇠가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그의 바람이 이루어지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인다. 최종 결정권을 쥔 5명의 노르웨이 노벨위원회 위원 중 최소 3명이 과거 트럼프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한 바 있기 때문이다. 요르겐 와네 프리드네스 위원장은 그의 언론 공격을 비판했고, 또 다른 위원은 그가 "미국 민주주의를 해체하는 길에 들어섰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결국 트럼프의 노벨상 도전은 미국 내 여론의 냉대, 지지층의 분열, 그리고 최종 관문인 심사위원회의 비판적 시선이라는 삼중고에 부딪히며 씁쓸한 짝사랑으로 끝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