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추석 보너스도 못 챙겨주는데…'물건 없다' 텅 빈 홈플러스의 비명
추석 대목을 앞둔 유통가에 홈플러스의 자금난이 현실화되며 파장이 커지고 있다. 홈플러스는 최근 직원들에게 지급해야 할 추석 명절 상여금을 당초 예정일인 9월 말보다 늦은 10월 2일에 지급한다고 공지했다. 통상 명절 연휴가 시작되기 최소 일주일 전 상여금을 지급해왔던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이번 지급 지연은 회사의 자금 사정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업계에서는 홈플러스가 이달 내에 처리해야 할 다른 대금 지급 압박까지 겹치면서, 직원들의 상여금마저 제때 지급하지 못할 정도로 유동성 위기에 몰린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이러한 자금난의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주요 협력사들의 납품 차질이 꼽힌다. 물건을 공급받지 못해 매대가 비기 시작하면서 영업에 직접적인 타격을 입고, 이는 다시 현금 흐름 악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사태가 심각해지자 홈플러스의 대주주인 MBK파트너스는 정치권에 손을 벌리는 상황에 이르렀다. 지난 19일 더불어민주당과의 비공개 간담회에서 MBK 측은 연내 폐점 예정이던 15개 점포를 포함한 전 점포의 폐점 논의를 중단하겠다는 카드를 꺼내 드는 대신, 대기업들이 납품을 재개하도록 정치권이 협조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는 사실상 줄폐점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는 대가로 당장의 현금 흐름을 해결해달라는 의미로, 홈플러스가 자력으로 위기를 타개하기 어려운 한계 상황에 봉착했음을 시사한다.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하는 소비쿠폰마저 홈플러스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해당 쿠폰 사용처에서 대형마트가 제외되면서 고객들의 발길이 다른 곳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납품 물량 감소로 팔 물건도 부족한데, 그나마 있던 고객마저 줄어들면서 추석 대목 특수를 전혀 누리지 못하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한편, 정치권의 개입으로 폐점 논의가 일단 중단되면서 애꿎은 입점업체들로 불똥이 튀었다. 당초 폐점 예정이던 점포의 입점업체들은 3개월 매출액의 30% 수준의 보상안을 두고 홈플러스와 협의를 진행하며 다른 곳으로의 이전을 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폐점이 보류되면서 보상 논의마저 중단됐고, 이들은 보상도 받지 못한 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불확실한 상황에 내몰리게 됐다. 한 입점업체 관계자는 폐점 보류가 해결책이 아니라 불확실성만 키우는 조치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생존을 위한 고육지책으로 홈플러스는 9900원짜리 워킹화, 5900원짜리 모자 등 초저가 의류·잡화 라인업을 확대하며 고객 끌어모으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총체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