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
"한강벨트 따라 집값도 '들썩'"…마포·성동, 강남 못지않은 상승세 '기염'

특히 강남구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강남구 전용 59㎡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20억 8706만 원으로, 1년 전보다 무려 16.7%나 급등하며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동별로 살펴보면 개포동이 25억 2137만 원으로 22.8%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고, 삼성동(20억 6220만 원, 17.9% 상승)과 역삼동(22억 8224만 원, 16.5% 상승)이 그 뒤를 이었다. 이미 지난해 평균 가격 20억 원을 넘겼던 서초구 역시 올해 22억 7639만 원으로 10.9% 오르며 강남권의 초고가 행진을 이어갔다. 이러한 강남, 서초 지역의 가격 급등은 고소득층의 수요가 집중되고, 재건축 및 개발 호재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강남권뿐만 아니라 마포구(15.9%), 송파구(15.8%), 강동구(13.9%), 성동구(13.7%), 광진구(11.0%) 등 이른바 '한강벨트' 지역의 상승세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들 지역은 편리한 교통과 쾌적한 주거 환경을 바탕으로 꾸준히 인기를 끌어왔으며, 최근에는 직주근접을 중시하는 젊은 층의 수요까지 더해지며 가격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다. 반면, 도봉구, 중랑구, 금천구 등 서울 외곽 지역은 한 자릿수대의 미미한 상승에 그치거나 오히려 하락하는 등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중랑구의 경우, 새 아파트나 역세권 랜드마크 단지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단지의 거래 비중이 높아지면서 평균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을 보였다.
국민 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 아파트 역시 비슷한 흐름을 보이며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2023년 11억 6597만 원이었던 평균 매매가격은 2024년 12억 7591만 원, 올해는 13억 8086만 원까지 치솟았다. 다만, 상승 폭은 지난해 9.4%에서 올해 8.2%로 다소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최근 1~2인 가구 증가와 같은 가구 구조의 변화와 자금 여건 등을 고려해 전용 59㎡와 같은 소형 평수를 찾는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용 84㎡ 역시 여전히 시장의 기준이 되는 평형이지만, 계속되는 가격 상승으로 인해 진입 장벽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한 소형 평수로 눈을 돌리는 수요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 50대 부부 한알 먹고 침대에서 평균횟수 하루5번?
- 난임 고생하다 폐경 후, '57세' 최고령 쌍둥이 출산?
- 도박빚 10억 여배우K양 '이것'후 돈벼락 맞아..
- 로또1등 "이렇게" 하면 꼭 당첨된다!...
- 먹자마자 묵은변 콸콸! -7kg 똥뱃살 쫙빠져!
- 빚더미에 삶을 포가히려던 50대 남성, 이것으로 인생역전
- 월수익 3000만원 가능하다!? 고수입 올리는 이 "자격증"에 몰리는 이유 알고보니…
- 인삼10배, 마늘300배 '이것'먹자마자 "그곳" 땅땅해져..헉!
- 인천 부평 집값 서울보다 비싸질것..이유는?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당뇨환자', '이것'먹자마자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서울 동작구" 집값 상승률 1위…이유는?
- 로또1등' 수동 중복당첨자만 벌써 19명째 나왔다.
- 죽어야 끊는 '담배'..7일만에 "금연 비법" 밝혀져 충격!